C#문법

[C#문법] Part8-5 반복문: break문, continue문

BlackWolfDev 2023. 2. 3. 19:55

[ 개요 ]

반복문을 돌다가 원하는 요소에서 반복문을 탈출하거나 반대로 원하지 않는 요소에서 탈출해야 할 때가 있다.

이번 시간에는 조건문과 반복문을 이용하여 break문과 continue문에 대해 알아보자.


[ 개념 ]

조건문과 반복문을 이용해서 탈출하려면 break문을 사용하면 된다.

저번 시간에 switch문을 쓰면서 break문을 사용한 적이 있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new int[10] { 0, 1, 2, 3, 4, 5, 6, 7, 8, 9 };

    foreach (int item in arr)
    {
        if (item == 5)
        {
            Console.WriteLine("탈출");
            break;
        }
        Console.WriteLine(item);
    }
}

콘솔결과값

foreach 반복문을 통해 arr 배열 안에 있는 요소들을 하나씩 출력한다.
반복 문안에 if 조건문으로 값인 5인 요소를 만나면 “탈출”이란 문장을 출력하고 break 문을 걸었다.
그렇게 되면 5를 출력하지 않고 반복문을 탈출함을 알 수 있다.

break
문을 이용하여 반복문을 탈출할 수 있음을 알았는데 그럼 탈출하지 않고 계속 돌게 할 수는 없을까?
그래서 필요한 게 continue문이다.
continue
는 뒤의 코드를 실행하지 않고 다시 반복 문의 조건으로 넘어가는 문법이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new int[10] { 0, 1, 2, 3, 4, 5, 6, 7, 8, 9 };

    foreach (int item in arr)
    {
        if (item == 5)
        {
            Console.WriteLine("생략");
            continue;
        }
        Console.WriteLine(item);
    }
}

콘솔결과값

foreach 반복문을 통해 arr 배열 안에 있는 요소들을 하나씩 출력한다.
반복 문안에 if 조건문으로 값인 5인 요소를 만나면 “생략”이란 문장을 출력하고 continue문을 걸었다.
그렇게 되면 5를 출력하지 않고 다시 반복문의 조건으로 넘어가게 된다.
정확히는 뒤의 코드를 실행 안 하고 반복문의 이번 사이클을 끝내고 다음 사이클로 넘어감으로써 item의 요소가 다음 요소가 되었다.
그래서 4다음 6으로 넘어가서 출력이 된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