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ic void Main(string[] args){
string str = "Hello World";
int num =1;
Console.WriteLine(str + num);
}
[ 개요 ]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입력받고 출력하는 문법을 알아보자
앞으로 자신이 구현한 프로그램의 결과를 콘솔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개념 ]
프로그램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사용자에게 무언가를 입력받고 출력하는 것이다.
간단한 계산기의 경우도 우리가 계산할 숫자를 입력하면 결과 값을 우리 눈에 보이게 출력한다.
앞으로 프로그램을 만들면서 사용자 입출력은 프로그램의 결과뿐만 아니라 어떻게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편리하도록 사용될 것이다.
[사용자 입력]
Console.ReadLine();
위의 코드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Console이라는 클래스에서 ReadLine()이라는 함수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다”
위에서 나오는 클래스와 함수, 그리고 앞으로 나올 처음 보는 코드들은 추후에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리는 ReadLine() 을 통해서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다는 사실만 알면 된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tring str = Console.ReadLine();
}
우리가 전 시간에 알아본 string이라는 문자열에 str이라는 변수를 선언하였다.
그리고 변수에 사용자 입력을 받는 Console.ReadLine()이라는 함수를 대입하였다.
이렇게 되면 우리가 입력한 값을 str이라는 변수에 저장이 된다.
그럼 저장된 값을 어떻게 볼 수 있을까?
바로 데이터를 출력하면 된다.
[ 사용자 출력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tring str = "Hello World";
Console.WriteLine(str);
}
Console이라는 클래스에서 WriteLine()이라는 함수를 사용하여 str에 저장된 값을 출력한다
WriteLine() 함수를 통해 변수의 저장된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참고로 WriteLine()은 출력한 뒤에 개행문자를 붙여서 콘솔에서 한 줄을 띄지만 Write()는 띄우지 않는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Console.WriteLine("Hello World");
}
위와 같이 변수가 아닌 문자열을 바로 집어넣어도 된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num =1;
Console.WriteLine(num);
}
문자열이 아닌 다른 자료형도 출력이 가능하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tring str = "Hello World";
int num =1;
Console.WriteLine(str + num);
}
여러 개의 변수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수 사이에 ‘ + ‘라는 기호를 넣어주면 된다.
[ 결과 ]
'C#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C#문법] Part5-1 연산자:산술연산자 (1) | 2023.01.11 |
---|---|
[C#문법] Part4 주석 (6) | 2023.01.10 |
[C#문법] Part3 형변환(type conversion) (1) | 2023.01.09 |
[C#문법] Part1-2 변수(variable): 변수와 자료형 (5) | 2023.01.04 |
[C#문법] Part1-1 변수(variable): 메모리의 개념 (8) | 202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