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조건문이란 해당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하여 참이면 해당코드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래밍 문법이다.
if문과 switch문이 대표적인 조건문이다.
이번 시간에는 if문에 대해 알아보자.
[ if문 ]
if(조건문)
{
//코드
}
else if(조건문)
{
//코드
}
else
{
//코드
}
if문은 괄호 ()안의 조건문이 참인 경우에만 주어진 코드 블럭을 실행한다.
조건이 거짓이라면 해당 코드를 실행되지 않는다.
괄호 ()안에는 이전에 배운 비교연산자 등이 조건문으로 사용될 수 있다.
if문의 시작과 끝에는 중괄호{}로 감싸는데 중괄호 안에 조건문이 참일 경우 실행시킬 코드가 들어간다.
else if문은 if문의 조건문이 거짓일 경우 else if문의 조건문을 확인하여 참일 경우 해당 코드 블럭을 실행한다.
즉, if문이 참일 경우 else if문이 동작하지 않지만 if문이 거짓일 경우 else if의 조건문을 확인한다.
else if문은 여러개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else문은 if문과 else if문이 모두 거짓일 경우 실행한다.
참고로 if 조건문의 순서는 if->else if->else순으로 되며 순서를 바꾸면 에러가 난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1 = 10;
int num2 = 20;
int num3 = 10;
Console.WriteLine("[첫번째 조건문 결과]");
if (num1 < num2)
{
Console.WriteLine("num2가 더 큽니다.");
}
else if(num1 > num2)
{
Console.WriteLine("num1이 더 큽니다.");
}
Console.WriteLine();
Console.WriteLine("[두번째 조건문 결과]");
if (num1 < num3)
{
Console.WriteLine("num3이 더 큽니다.");
}
else if(num1 > num3)
{
Console.WriteLine("num1이 더 큽니다. ");
}
else
{
Console.WriteLine("num1과 num3이 같습니다. ");
}
Console.WriteLine();
Console.WriteLine("[세번째 조건문 결과]");
if (true)
Console.WriteLine("조건식이 true일 경우"); //코드가 한줄일 경우 중괄호 생략가능!
}
첫번째의 조건문의 경우 if문의 조건식에서 num2가 num1보다 크므로 참이되어 해당 문장을 출력하였다.
두번째 조건문의 경우 if문과 else if문의 조건식이 거짓이므로 else문이 실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세번째 조건문은 조건시에 true를 넣기만 하여도 조건식이 만족하여 결과를 출력하였다.
만약에 코드가 한줄일 경우 위와같이 중괄호 생략이 가능하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r = "C";
Console.WriteLine("[조건문 결과]");
if (str == "A")
{
Console.WriteLine("A");
}
else if(str == "B")
{
Console.WriteLine("B");
}
else if (str == "C")
{
Console.WriteLine("C");
}
else
{
Console.WriteLine("그 외의 알파벳");
}
}
위의 코드는 string형과 ==연산자를 이용하여 조건문 예제를 만들어봤다.
else if(str == “C”)에서 조건문이 참이 되어 해당 코드를 실행함을 알 수 있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 = 1;
string str = "A";
Console.WriteLine("[첫번째 조건문 결과]");
if (str == "A" && num ==1)
{
Console.WriteLine("true!");
}
else
{
Console.WriteLine("false");
}
Console.WriteLine("[두번째 조건문 결과]");
if (str == "A" || num == 0)
{
Console.WriteLine("true!");
}
else
{
Console.WriteLine("false");
}
Console.WriteLine("[세번째 조건문 결과]");
if (!false)
{
Console.WriteLine("true!");
}
}
지금까지 배운 논리연산자를 이용해서 조건문 예제를 만들어보았다.
첫번째 조건문은 &&연산자를 이용하여 두개의 조건문이 모두 참이 되어야 실행되게 하였다.
str이 A이고 num 1이니 참이 되므로 해당 코드가 실행되었다.
두번째 조건문은 ||연상자를 이용하여 한개의 조건문이라도 참이 되면 실행되게 하였다.
num은 1이므로 거짓이 되지만 str이 A이므로 참이 되어 해당 코드가 실행되었다.
세번째 조건문은 !연산자를 이용하여 false를 true로 바꾸었으므로 해당 코드가 실행되었다.
'C#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C#문법] Part8-1 반복문: while문 (6) | 2023.02.03 |
---|---|
[C#문법] Part7-2 조건문: switch 조건문 (1) | 2023.01.31 |
[C#문법] Part6 배열 (0) | 2023.01.30 |
[C#문법] Part5-6 연산자:기타연산자(삼항연산자) (6) | 2023.01.24 |
[C#문법] Part5-5 연산자:비트연산자 (2) | 2023.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