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 33

[C#문법] Part8-5 반복문: break문, continue문

[ 개요 ]반복문을 돌다가 원하는 요소에서 반복문을 탈출하거나 반대로 원하지 않는 요소에서 탈출해야 할 때가 있다.이번 시간에는 조건문과 반복문을 이용하여 break문과 continue문에 대해 알아보자.[ 개념 ]조건문과 반복문을 이용해서 탈출하려면 break문을 사용하면 된다.저번 시간에 switch문을 쓰면서 break문을 사용한 적이 있다.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arr = new int[10] { 0, 1, 2, 3, 4, 5, 6, 7, 8, 9 }; foreach (int item in arr) { if (item == 5) { Console.WriteLine("탈출"); ..

C#문법 2023.02.03

[C#문법] Part8-4 반복문: foreach문(배열 응용)

[ 개요 ]foreach문은 언뜻 보면 for문과 비슷하게 생겼다.실제로 foreach문은 for문과 동작 방식이 비슷한데 for문을 더 쉽게 사용하도록 나온 문법이다.이번 시간에는 반복문의 응용과 foreach문의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개념 ]이전에 배운 반복문들은 조건식을 통해 반복 문의 끝을 정해주었다.foreach (element in iterable-item){ // 코드}그러나 foreach문은 인자로 들어온 배열같이 여러 데이터가 있는 자료형(iterable-item)의 요소(element)들을 순서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다른 반복문을 통해서도 배열의 요소를 출력할 수 있지만 인덱스가 배열의 크기를 넘는다면 오류가 날 수 있기에 사용이 조심스럽지만 foreach문은 안전하게 ..

C#문법 2023.02.03

[C#문법] Part8-3 반복문: for문

[ 개념 ]for문도 while문과 같이 해당 코드를 반복할 수 있다.그러나 for문이 while문에 비해 가독성이 좋아서 for문을 주로 사용한다.먼저 초기화식이 실행된다.그리고 조건식이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며 true이면 실행 문장을 실행한다.실행 문장이 끝나면 반복문의 한 사이클이 끝나는데 이때 증감식을 실행시킨 후, 다시 조건식으로 판단한다.static void Main(string[] args){ for (int i = 0; i 초기화식에서는 i라는 변수를 선언하고 0으로 초기화하였다.조건식에서는 i가 10미만일 때까지 반복문을 반복하게 하였다.증감식에서는 i를 1씩 증가시켰다.for문을 통해 i를 1씩 증가시켜서 i를 10이 되기 전까지 계속 출력함을 확인할 수 있다.static vo..

C#문법 2023.02.03

[C#문법] Part8-2 반복문: do-while문

[ 개념 ]do-while은 while과 비슷한 반복문이다.그러나 do-while은 조건에 관계없이 한번 코드를 실행하고 그 이후의 조건식을 통해 만족하면 코드를 반복한다.do{    //코드} while(조건식)먼저 do를 선언해 주고 코드 블록 안에 반복하고자 하는 코드를 넣어준다.코드 블록을 닫고 while과 조건식을 선언해 주면 된다.static void Main(string[] args){ string str; do { Console.Write("반복할까요?(Y/N):"); str = Console.ReadLine(); } while (str == "Y");}먼저 do 안에 있는 코드를 한번 실행한다.Y를 입력할 때마다 while 문의 조건식에..

C#문법 2023.02.03

[C#문법] Part8-1 반복문: while문

[ 개요 ]컴퓨터는 수많은 일을 자동화하여 인류에게 편리한 삶을 제공하였다.이것을 가능하게 만든 건 컴퓨터의 조건문과 반복문이 큰 역할을 하였다고 필자는 생각한다.입력이 들어오면 조건에 맞는 동작을 실행하며,그 일을 반복하는 것이 컴퓨터의 큰 능력이라고 생각한다.그렇기에 프로그래머는 컴퓨터의 조건문과 반복문을 잘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전에 배운 조건문은 조건식이 만족하면 해당 코드를 한번 실행하였다.반복문도 조건식을 갖는데 조건식이 만족하다면 여러 번 실행할 수 있다.이번 파트에서는 반복문인 while, do-while, for, foreach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개념 ]while(조건식){        //코드} while문의 조건식이 참이라면 코드 블럭 안에 있는 코드를 반복해서 실..

C#문법 2023.02.03

[C#문법] Part7-2 조건문: switch 조건문

[ switch문 ]if문에 비해 가독성이 좋은 조건문이 있는데 바로 switch문이다.switch(값){case 조건1:           //코드           break;case 조건2:           //코드           break;default:           //코드}switch의 값이 case의 조건문과 비교하였을때 맞다면 해당 코드를 실행한다. case문은 조건을 제시한 다음 콜론(:)을 붙여야하면 코드안에 break를 붙여야한다.case문의 갯수는 상관없다. break명령어는 switch문의 종료를 의미한다. default는 case문들의 조건들이 해당 안된다면 실행된다.default는 if문의 else문과 같은 역할을 한다.default와 else는 필수요소가 아니므로 ..

C#문법 2023.01.31

[C#문법] Part7-1 조건문: if 조건문

[ 개요 ]조건문이란 해당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하여 참이면 해당코드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래밍 문법이다.if문과 switch문이 대표적인 조건문이다.이번 시간에는 if문에 대해 알아보자.[ if문 ]if(조건문){           //코드}else if(조건문){//코드}else{//코드}if문은 괄호 ()안의 조건문이 참인 경우에만 주어진 코드 블럭을 실행한다.조건이 거짓이라면 해당 코드를 실행되지 않는다. 괄호 ()안에는 이전에 배운 비교연산자 등이 조건문으로 사용될 수 있다.if문의 시작과 끝에는 중괄호{}로 감싸는데 중괄호 안에 조건문이 참일 경우 실행시킬 코드가 들어간다. else if문은 if문의 조건문이 거짓일 경우 else if문의 조건문을 확인하여 참일 경우 해당 코드 블럭을 실행한..

C#문법 2023.01.31

[C#문법] Part6 배열

[ 개념 ]지금까지 자료형으로 변수를 선언하는 것을 알아보았다.이렇게 선언한 변수는 하나의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 있다.그런데 저장하려는 데이터가 많으면 일일히 변수를 선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그렇다면 하나의 변수에 여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바로 배열이 있다.배열은 여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이다.            자료형[] 변수명 = new 자료형[크기]; 일반 변수와 같이 선언하는데 자료형 뒤에 []을 붙여줘야한다.변수명 뒤에 [] 안에는 숫자를 삽입할 수 있는데 이를 인덱스라고한다.인덱스는 배열의 공간을 의미한다. new는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명령어로써 메모리에 할당하게 된다.new 명령어는 나중에 설명하도록 하겠다.그리고 해당 자료형으로 원하는 크기만큼 선언해주면..

C#문법 2023.01.30

[C#문법] Part5-6 연산자:기타연산자(삼항연산자)

[ 개념 ]C#의 기타연산자들중에 삼항연산자라는게 있다.삼항연산자는 말 그대로 3개의 항으로 이루어져있는 연산자이다. 조건식 ? 반환값1 : 반환값2 문법은 위와같이 이루어져있다.조건식의 결과값이 참이면 반환값1을 반환하고 거짓이면 반환값2를 반환한다.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num1 = 10; int num2 = 20; int result; result = (num2 > num1) ? num2 : num1; Console.WriteLine("(num2 > num1) -> result1: " + result); //참 Console.WriteLine(); result = (num2 result2: " + result); //..

C#문법 2023.01.24

[C#문법] Part5-5 연산자:비트연산자

[ 개념 ]비트연산자는 비트단위로 논리연산을 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이다.비트 단위로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비트를 이동하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된다.[ 비트연산자의 종류 ] &연산자&연산자는 두비트가 모두 1일때만 1을 반환하고 아닌 경우에는 0을 반환한다.|연산자두 비트중 하나라도 1이면 1을 반환하고 두 비트가 모두 0일때 0을 반환한다.^연산자두 비트가 같으면 0 다르면 1을 반환한다.~연산자비트를 반전시키는 연산자로써 1은 0으로 0은 1로 반환환다.프로그래밍할때 ~연산자를 사용하면 1의보수의 결과값을 반환한다.1의 보수는 비트를 반전시키고 맨 뒤의 비트에 1을 더해준다.연산자 는 비트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연산자로써 오른쪽에 새로 생기는 비트는 0으로 채워준다.위의 그림은 옆에 2를 붙였는데 2는 비..

C#문법 2023.01.24

[C#문법] Part5-4 연산자:비교연산자

[ 개념 ]비교연산자는 피연산자들의 크기를 판단하는 연산자이다.왼쪽의 피연산자와 오른쪽의 피연산자를 비교하여 같거나 작은지 큰지 등을 판단한다.[ 비교연산자 종류 ]static void Main(string[] args){ char ch1 = 'a'; char ch2 = 'A'; int num1 = 10; int num2 = 10; int num3 = 20; int num4 = 5; // == 연산자 Console.WriteLine("a == A 결과1 : " + (ch1 == ch2)); Console.WriteLine("10 == 10 결과2 : " + (num1 == num2)); Console.WriteLine(""); // != 연산자 ..

C#문법 2023.01.21

[C#문법] Part5-3 연산자:증감연산자

[ 개념 ]증감 연산자는 피연산자를 1씩 증가하거나 1씩 감소시킬 때 사용하는 연산자이다.[ 증감연산자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num1 = 10; int num2 = 10; int num3 = 10; int num4 = 10; // 전위증가연산자 Console.WriteLine("전위증가연산자에 의한 결과1 : " + ++num1); Console.WriteLine("전위증가연산자에 의한 결과2 : " + num1); // 후위증가연산자 Console.WriteLine("후위증가연산자에 의한 결과1 : " + num2++); Console.WriteLine("후위증가연산자에 의한 결과2 : " + num2)..

C#문법 2023.01.21

[C#문법] Part5-2 연산자:대입연산자

[ 개념 ]대입연산자는 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 사용하는 이항 연산자이다. 피연산자들의 결합 방향은 오른쪽에서 왼쪽이다.[ 대입연산자 종류 ]대입연산자는 연산과 동시에 대입을 할 때 유용하다.num1 = num1 + 10;위와 같은 연산을 하려면 코드가 좀 길어지는데 이 코드를 아래와 같이 길이를 줄일 수 있다.num1 += 10;= 대입연산자를 제외하고 나머지 대입연산자들은 연산하려는 변수에 다른 변수나 숫자를 연산할 때 쓰인다.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num1 = 10; // = 연산자 num1 = num1 + 10; Console.WriteLine("= 연산자에 의한 결과 : " + num1); // += 연산자 num1 +=..

C#문법 2023.01.11

[C#문법] Part5-1 연산자:산술연산자

[ 개요 ]컴퓨터의 핵심은 연산능력이다.프로그램을 구현하다보면 연산을 많이 사용할 것이다.프로그래밍에서는 여려 연산자들이 있다.1. 산술연산자2. 대입연산자3. 증감연산자4. 비교연산자5. 논리연산자6. 비트연산자7. 삼항연산자이번 파트는 산술연산자를 시작으로 여러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자.[ 개념 ]산술 연산자는 사칙연산을 다루는 연산자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산자 중 하나이다.산술 연산자는 모두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는 이항 연산자이며, 피연산자들의 결합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한다.참고: 이항 연산자란 해당 연산의 실행을 위해서 두 개의 값이나 변수가 필요한 연산자를 의미합니다.[ 산술연산자의 종류 ]' + '는 더하기, ' - '는 빼기, ' * '는 곱하기를 의미한다.'..

C#문법 2023.01.11

[C#문법] Part4 주석

[ 개요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코드가 길어지고 복잡해져서 내가 구현한 코드이지만 못 알아보는 경우가 많다.또한 내가 구현한 코드를 남들에게 보여줄때 코드를 보고 이해를 못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만약 내가 구현한 코드에 대해 설명을 달아놓을 수 있다면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될것이다.그러한 프로그래머들의 고민을 알아줬는지 C#에서는 주석이라는 문법을 만들어놓았다.[ 개념 ]주석은 프로그램의 코드에 설명을 추가하는것이다주석을 이용한다면 각각의 코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할 수 있다.이를 통해 공동작업을 하는 다른 개발자나 코딩을 하는 자신에게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주석의 종류 ]static void Main(string[] args){ //Hello World 출력하는 코드 Consol..

C#문법 2023.01.10
728x90